현지시간 10일 미국 미시간 주에 있는 수출기업을 찾아 애로사항을 청취한 김동연 경기도지사 [사진=경기도청 제공]
[메가시티뉴스 송원석 기자] 9일 인천공항에서 대선 출마를 선언한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짧은 미국 출장을 임팩트 있게 사용하고 있다.
김 지사는 9일 아침 인천국제공항에서 대국민 출국 보고 후 미국 현지시간 10일에 디트로이트 공항에 도착하자마자 첫 일정을 시작했다. 13시간 비행 후에도 샌드위치로 간단히 끼니를 채운 후 현지에 진출한 자동차 부품기업 '광진 아메리카' 임직원들과 간담회를 진행했다.
김 지사의 이번 미국행은 지난달 31일 열렸던 '평택항 자동차 수출기업 현장간담회'가 발단이었다. 당시 간담회 자리에서 미국 빅3 완성차 회사인 포드, GM, 스텔란티스에 모두 수출을 하는 부품업체 임원 A씨의 간절한 호소에서 시작됐다.
A씨는 "지금 제일 답답한 점은 (정부의) 정확한 정책방향이 안나온다는 것이고, 정부에서 나서서 어떤 식으로 흘러갈지, 어떤 대응을 해야 할지 알게 해야 하는데 아직까지 그런 것들이 없이 여기까지 왔다"면서 "저희가 4월 2일 이후부터 25% 관세를 맞게 되면 약 100억 원 정도 관세로 지출을 해야 하는데, 포드나 스텔란티스에 협상을 하기 위해서 시도는 하고 있지만 만나주려고 하지도 않고, 작년도에 당기순이익의 거의 90%가 환차익으로 났을 뿐 실제 영업이익은 거의 없는 상황에서 100억 가까운 관세를 물게 되면 저희는 도산할 수밖에 없다"라고 하소연 했다.
이어 그는 "중소업체들 입장에선 협상대응력도 부족할 뿐더러 자금력도 취약한만큼 중앙정부에서 힘들다 그러면 경기도가 저희 고객(포드, 스텔란티스)들과 협상이 끝나기 전까지라도 일부 관세를 보조해 주신다거나 하는 조치를 해 주신다면 정말 감사하겠다"면서 "경기도가 포드라든지 스텔란티스 업체하고 이 두 곳에 수출을 하고 있는 업체를 대표해서 사절단을 만들어 관세를 협상할 수 있는 창구라도 만들어주셨으면 하는 게 간절히 바라고 꼭 좀 살펴서 도와주실 수 있도록 부탁 드린다"라는 간절한 마음을 전했다.
관세로 도산을 생각하는 기업은 이 업체뿐만이 아니었다. 또 다른 임원 B씨는 "25% 관세부과시 600억이 된다는 계산이 나왔다"면서 "영업이익 자체가 전체적으로 5%가 안되는데, 앉아서 관세를 트럼프 4년동안 맞으면 어떻게 살아날까"라고 발을 동동 구르기도 했다.
이에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우리 수출중소기업이 주로 납품을 하는 포드, GM, 스텔란티스는 모두 미시간주에 있다는 사실에 착안, 배석했던 도 간부들에게 미시간 주지사와의 회동 추진을 즉각 지시하기에 이르렀다.
연락을 받은 그레첸 휘트머 미시간 주지사도 회담제안에 흔쾌히 동의했다.
미시간주는 지난달 말 28일~30일 1인치 이상의 얼음 강풍으로 인해 극심한 피해를 입은 상태로, 휘트머 주지사가 지난달 31일 주내 10개 카운티에 비상사태를 선포했을 정도의 긴급상황임에도 휘트머 주지사는 김동연 지사와 만나겠다고 화답한 것이다.
미국 자동차산업을 이끄는 미시간주의 주지사로서 트럼프발 '관세쇼크' 문제의 중대성을 인식하고, 서로의 일정을 조율한 끝에 김동연 지사는 4월 일 출국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지사는 10일 수출기업 간담회에 이어 내일 휘트머 주지사와 회담을 앞두고 있다.
김동연 지사는 관세문제에 손을 놓고 있다시피 한 정부와 정치권이 "우리 경제에 죄를 짓고 있는 것 같다"고 말한 일이 있다. 대선출마선언 이후의 금쪽같은 시간이지만, 중소기업인들의 간절한 요구에 즉시 응답하며 약속을 지키는 정치인으로서 입지를 굳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