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기상청은 올여름 7월과 8월 평균기온이 평년보다 높고, 극한 폭염일수가 늘어날 것으로 예보하고 있다. 실제 지난 6월부터 경남 일부 지역은 이미 40도에 육박하는 기온을 기록하며 온열질환자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하동군은 폭염 대응 T/F팀(총 26명)을 구성해 5월 15일부터 9월 30일까지를 폭염대책기간으로 정하고, '인명 피해 제로화'와 '재산 피해 최소화'를 목표로 전방위 대책을 추진 중이다.
이번 종합대책은 폭염 취약계층 보호, 무더위 쉼터 운영, 폭염 저감 인프라 확충, 농·축·수산 분야 피해 예방 등 5대 전략을 중심으로 추진된다.
폭염 취약 시간대(12시∼17시) 실외 작업을 자제하도록 권고하고, 야외 작업장에는 무더위 휴식제를 실시하며, 건설 현장 등 근로자 안전관리도 강화한다. 군 발주 공사 현장은 폭염특보 발효 시 작업 일정을 조정하거나 중단하는 등 유연하게 운영될 예정이다.
군은 현재 관내 마을회관과 경로당 등 특정 계층 이용 시설을 포함한 393개소의 무더위쉼터를 지정·운영 중이며, 실외 쉼터로는 정자, 공원 등을 활용해 총 27개소를 마련했다. 쉼터에는 생수, 부채, 냉방기 등을 비치해 폭염 대응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다.
또한 각 읍·면사무소에는 양산 대여소를 운영해 군민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하동읍과 진교면 시가지 중심으로 도로 폭염 저감을 위해 살수차를 운영하고 있다.
특히 고령자, 독거노인 등 건강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안부 전화 드리기' 운동과 방문 건강관리 서비스를 운영하고, 읍면 직원 및 마을이장, 자율방재단 등 재난 도우미를 통해 1대1 안전 예찰 활동도 강화한다.
농·축·수산 분야의 피해 예방에도 총력을 기울인다. 농업기술센터는 폭염 등 기상 재해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농작물 재해대책상황실을 운영하고, 신속한 상황관리 체계를 구축해 농가 지원에 나선다.
해양수산과는 고수온 대응 장비를 보강하고 양식어장 실시간 수온 정보 공유, 면역증강제 보급 등을 통해 수산 분야의 피해를 최소화할 방침이다.
군 관계자는 "폭염은 누구에게나 위협이 되지만 특히 고령층과 농어업인, 실외 노동자에게는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라며, "모든 부서가 협력해 폭염으로부터 군민을 지키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폭염 대응 기간은 5월 15일부터 9월 30일까지이며, 군은 이 기간에 폭염특보에 따라 즉각적인 상황 보고와 총력 대응 체제를 유지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