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국회 소통관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어 BNK금융지주를 향한 금융당국의 강력한 감사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연 민주당 부울경 국회의원들. [사진=허성무 의원실 제공]

[메가시티뉴스 송원석 기자] 더불어민주당 민홍철·김정호·김태선·김상욱·허성무 등 부울경 국회의원들이 29일 기자회견을 열고 BNK금융지주 빈대인 회장과 방성빈 부산은행장을 향해 사퇴를 촉구했다.

의원들은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BNK 금융지주 빈대인 회장과 방성빈 부산은행장을 "김건희씨와 연계된 도이치모터스·도이치파이낸셜 계열사에 100억 원대 무담보 신용대출을 제공한 의혹의 핵심 당사자들"이라고 지적하며 "빈 회장은 지난 지방선거에서 국민의힘 부산 남구청장 예비후보로 거론되었다가 윤석열 정부 인수위원으로 활동했던 인물로, 정치권과의 연결 고리를 통해 금융권 인사에 영향을 미쳤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고 꼬집었다.

의원들은 빈 회장의 이런 정치적 행보 속에 진행된 BNK금융지주 회장추천위원회의 활동도 불공정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하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BNK 금융 회추위는 비공개·졸속으로 절차를 진행하고 추석 연휴를 지나 고작 4~5일 영업일에 제한된 후보등록 기간을 운영하는 등 절차적 투명성과 공정성이 현저히 결여됐다"면서 "빈 회장이 자신의 측근 위주로 사외이사를 포진시켜 이사회를 방어막으로 활용한 이른바 '사외이사 참호 구축' 논란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잇단 의혹들은 금융감독원장이 'BNK 금융지주 회장 선임 절차에 특이한 면이 많이 보여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필요 시 수시검사를 하겠다'고 언급하게 만든 배경"이라면서 "국민의힘 일부 의원들이 금융당국의 정당한 개입을 '관치'라고 비난하는 것은 본질을 왜곡한 정치적 궤변"이라고 반박했다.

의원들은 "BNK 사태의 본질은 관치가 아니라 감독의 부재"라며 "지금 필요한 것은 감독당국이 법에 따라 제 역할을 다하는 것으로, 투명한 금융감독은 정치적 간섭이 아니라, 헌법과 법률이 정한 공적 의무이며, 부패와 불투명한 인선에 침묵하는 것이야말로 진짜 관치이자 직무유기"라고 강조했다.

이어서 "사외이사 독립성 훼손 의혹 등은 지역금융의 공공성에 정면으로 반한다"며 "빈 회장은 회추위 위원들에게 불공정하고 폐쇄적인 절차를 사전 지시해 실행하게 해놓고, 국감에서 지적받자 이를 '실무자의 실수'로 돌리며 여론을 호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의원들은 "BNK 금융지주와 회추위는 국회와 시민의 비판을 겸허히 받아들이고, 책임져야 할 인사들이 먼저 사퇴한 뒤 후속 절차를 진행해야 한다"며 "회장 선임은 내부인 중심의 폐쇄된 구조에서 벗어나 국민이 납득할 수 있는 투명하고 개방적인 방식으로 다시 추진되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감독당국을 향해서도 "이번 사태를 단순한 인사 문제가 아니라 권력형 비리·지배구조 왜곡·감독기능 마비 사건으로 인식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쓴소리를 이어나갔다.

이들은 "금융감독원은 즉각 전면검사에 착수하고, 수사당국은 내통·로비·평판조작 등 모든 의혹에 대해 신속하고 철저히 수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BNK 금융지주 이사회와 금융감독당국에 회장 선임 절차 전면 조사와 수시검사 착수, 도이치모터스·도이치파이낸셜 관련 여신 조사, 회장추천위원회의 독립성과 이해상충행위 조사 등 세 가지를 즉각 이행하라고 요구했다.

의원들은 향후 이사회와 감독당국이 이를 이행하지 않거나 실질적 조치가 확인되지 않을 경우, 국회 차원의 청문회 개최, 자료제출 요구, 특위 구성, 감사원 감사 요청, 수사기관 고발 등 가능한 모든 법적·제도적 수단을 총동원하겠다고 경고하며, 금융당국과 정부의 엄격한 모니터링을 주문하기도 했다.

BNK금융지주는 부산은행을 중심으로 2011년 지방은행 최초의 금융지주회사인 BS금융지주를 출범한 후 2014년에는 경남은행을 인수했다. 부산경남을 기반으로 영업하며 전국 단위의 금융업으로 발돋움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