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NK금융그룹


[메가시티뉴스 정하룡 칼럼니스트] 부산ㆍ경남지역 대표 금융, BNK금융그룹이 차기 대표이사·회장 선정을 두고 지역 여론이 복잡하다. 게다가 빈대인 현 회장이 연임 의지를 밝힌 상태라 그 리더십의 자격과 실력, 선출 과정, 절차적 투명성 등이 거론되며 지역 경제권이 출렁이고 있다.

절차 개시 사실을 외부에 뒤늦게 공개하고, 추석 연휴를 끼고 촉박하게 일정을 진행하면서 전형적인 '깜깜이' 방식이라는 논란이 일더니, 부산 지역 일각에서는 '이상하다'에서 '수상하다'로 일파만파 비화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지난 21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BNK그룹 회장 선임 절차에 대해 "특이한 면들이 많아 챙겨보고 있다"고 밝히면서 향후 회장 선출 구도에 변수가 돌출됐다.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은 차기 BNK금융그룹 최고경영자 선임 과정이 빈대인 현 회장에게 유리한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박범계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의혹 제기에 대해 "문제가 있을 경우 수시검사를 통해서 바로 잡겠다"고 밝혔다.

BNK금융그룹, 경영승계절차...전형적인 정치권 '깜깜이' 방식 닮아...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BNK금융그룹 임원후보추천위원회(임추위)가 추석 직전인 지난 10월1일 위원회를 열고 차기 대표이사·회장 선임을 위한 경영승계절차에 착수했다.

이어 임원후보추천위원회는 BNK그룹 차기 대표이사·회장 선임을 위한 상시 후보군을 대상으로 지난 15일까지 지원서를 접수했다.(그룹 게시판에 14일에 오픈해 15일 정오 마감됐다)

상시 후보군은 빈대인 현 BNK금융그룹 회장과 방성빈 부산은행장, 김태한 경남은행장을 비롯한 주요 계열사 대표 등 '내부 당연직' 후보군과 외부 '추천기관 2곳'에서 엄선한 '전직 BNK금융그룹 산하 임원'과 '타 금융기관 임원 출신 인사들' 모두 7명으로 구성됐다.

여기 외부 추천기관, "'헤드헌터사'의 선정 기준, 선정된 기관의 추천 방식'들"도 투명하지 않고, 또 '전직 BNK금융그룹 산하 임원(이하'전직')'의 기한을 3년이냐, 5년이냐에 따라 '인재의 풀'이 크게 달라진다.

또 '인재의 실력과 그 기준'도 문제될 소지가 많다. 대체로 그룹 임원진의 실력, 특히 그룹의 수장이라면 은행 고유의 '마케팅', '여신', '리스크' 업무(업력)를 골고루 갖춰야 한다는 게 상식으로 돼 있다.

임추위는 지난 10월1일 회의 후 2일부터 상시 후보군에게 관련 내용을 통보하기 시작했다. 최종 후보자는 임추위 추천과 이사회 결의, 내년 3월 열리는 정기 주주총회 승인을 거쳐 대표이사·회장으로 취임하는 일정이다.

"BNK금융그룹, 지역 대표성과 공공성에 무감한 것 아니냐..."

또 일정을 무리하게 앞당기고, 예비 후보들에게 지원 절차도 뒤늦게 알려져 '야바위'라는 원성을 사고 있다. 절차 개시 사실을 외부에 뒤늦게 알리고, 일정 역시 추석 연휴를 끼고 촉박하게 진행했다는 지적이다.

지난 2023년에 11월에 진행됐던 임추위가 1개월 가량 갑자기 앞당겨진데다, 후보 접수를 위해서는 이력서, 경영 목표, 장기 비전을 담은 계획서까지 모두 제출해야 하는데 대부분의 후보들은 절대적으로 시간이 부족한 상황이었다.

지난 2021년 1월 대표이사·회장 선임 일정을 보면 1월29일 지주회장 추천, CEO 후보군을 포함해 예비후보 5명 선정 후, 2월24일 CEO 2차 후보군 2명 압축 선정, 3월17일 CEO 후보군 면접 평가를 거쳐 3월25일 최종 후보자 선정 및 선임하는 투명한 과정을 거쳤다.

통상적으로 임추위 개시 이후 롱리스트 확정까지 약 한 달의 시간을 두는데, 이번에는 일정이 대폭 단축되는 바람에 '숨은 의도'에 '보이지 않는 손'까지 작동하지 않느냐는 의혹으로 비화되고 있다.

부산지역 금융권 일각에서는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정치권 이슈로 번질 조짐도 보인다"며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