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교육감 재선거에 나선 차정인 예비후보는 10일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단일화에 등록한 유일한 민주진보후보로 필승 결의를 다졌다. [사진=차정인 캠프 제공]

[메가시티뉴스 송원석 기자] 차정인 부산시 교육감 예비후보(전 부산대 총장, 이하 차 후보)는 10일 부산시의회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2025 부산민주진보교육감추진위원회(이하 추진위)’단일화에 등록한 유일한 민주진보후보로 “반드시 승리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차 후보는 추진위의 단일화 등록시한인 이날 12시까지 김석준 후보(이하 김 후보)가 등록하지 않아 추진위 단독 참여 후보로 확정됐다. 차후보는 기자회견문을 통해 김석준 후보의 단일화 거부에 대해 안타까움을 표했다.

차 후보는 “김 후보는 지난 두 번의 부산시교육감선거에서 민주진보후보로 당선됐던 교육감”이라며 “작년 서울시교육감 보궐선거에서 단일화 사례에서 보듯, 민주진보후보 단일화는 승리를 위해서는 절실하게 필요한 것이 또한 ‘상식’이었다”고 강조했다.

그간 단일화에 대해 상황논리를 거론하며 부정적이었던 김 후보의 대응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무엇보다 단일화 추진위에 대해 공공연하게 노골적인 불신을 표한 것에 대해 강력하게 비판하며, 특히 추진위의 노력을 ‘매우 위험하고 잘못된 마이너스 단일화’로 폄훼하고, 심지어 ‘헛된 꼼수로 상식을 기만’하며 ‘위험한 자충수로 무덤을 파는 행위’로까지 비유한 것에 대해 민주진보후보 단일화를 염원하는 시민들과 추진위에 대해 반드시 사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차 후보는 김 후보 측에서 제기했던 추진위원 주소 확인 등 몇 가지 문제에 대한 추진위의 조치도 상세히 언급했다.

먼저, “부산시민임을 확인할 수 있는 주소검증시스템을 구축했고, 이미 테스트까지 마쳤으며, 교원 또는 공무원의 대규모 참여는 기존 선례들을 봤을 때 현실적으로 발생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무엇보다 이 모든 가능성에 대한 선관위 문의결과 선거법 상 문제가 없음을 확인받았다”는 추진위 입장을 전하며 추진위 대표단이 양 후보를 직접 방문해 이 내용을 담은 정식 문서까지 전달했음에도 정작 공개적으로 문제제기했던 김 후보 측은 아무런 대응이 없었던 점도 지적했다.

차 후보는 결국 김 후보의 민주진보후보 단일화 거부는 ‘오로지 김석준 후보 본인만의 승리’를 위한 선거공학적 판단으로, 분열의 책임은 전적으로 김 후보에게 있다며 강하게 비판했다.

그러면서 차 후보는 민주진보후보 단일화는 실패하거나 중단되지 않았다며, 단수가 참여한 경우 후보등록을 한 후보를 상임대표단의 검증절차를 거쳐 민주진보교육감 추진위 후보로 선정한다는 원칙을 추진위에서 끝까지 지켜줄 것을 요청했다.

아울러, 차 후보는 ‘유능한 실용주의자’이자 ‘당당한 민주진보후보’로 부산 시민과 함께 승리의 길을 걷겠다는 결의도 밝혔다.

차정인 후보는 부산대 대학원 석박사를 졸업하고, 사법시험을 통과한 후 검사, 변호사 생활을 거쳐 부산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로 임용되었다. 이후 부산대 법학전문대학원장을 거쳐 21대 부산대 총장을 역임하며 부산대와 부산교대 통합, 세계대학평가 급상승 반전, 학습환경과 캠퍼스환경의 획기적 변모, 대학병원 파업 중재 타결, 글로컬 대학 선정, 지방대육성법과 국립대회계법 개정 성공 등 유능한 총장으로 평가받고 있다.

애초 추진위의 후보 등록은 지난 달 31일까지였으나 김석준 후보가 등록을 거부했고, 이에 추진위에서 민주진보후보 승리를 위해 10일까지 등록 연장을 제안했다. 차정인 후보가 동의함으로써 연장되었으나, 시한이 종료된 10일 오후 12시까지 결국 김 후보는 등록하지 않았다.